미국 브라운대 메디컬센터, 하버드의대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진은 16일(현지시간) 사지가 마비 사람의 뇌파를 이용해 생각만으로 인공 수족을 움직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네이처지 온라인판에 공개했다.
연구진은 15년 전부터 팔이 마비돼 움직이지 못하는 여성 환자와 5년 전부터 다리를 쓰지 못하는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연구진은 환자의 뇌에 어린이용 아스피린만한 크기의 센서 칩을 이식했다. 이 칩은 환자가 팔을 움직이는 상상을 할 때마다 뇌 세포의 전자 활동을 포착해 이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했다. 컴퓨터는 이런 신경 신호를 로봇팔을 움직이는 명령으로 전환해 로봇팔을 통제했다.
환자들은 팔을 뻗어 자기 앞에 있는 고무공을 잡는 동작을 시도했다. 남성 환자와 여성 환자는 성공 확률이 각각 50%와 60% 가량으로 나타났다. 여성환자는 로봇팔을 움직여 커피 병을 잡고 이를 입으로 가져와 빨대로 커피를 마신 뒤 다시 병을 테이블에 올려놓는 데 성공했다. 이 여성환자는 6차례의 시도 중 4차례나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사고 등으로 신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마비돼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의 재활치료와 인공 수족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와 유사한 연구를 진행하는 미국 피츠버그대학의 앤드루 슈워츠 교수는 ‘커피 마시기’는 마비 환자들이 원하는 일상생활의 동작을 대변하는 까닭에 고무적이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기술 개발과 비용 인하 등의 문제가 해결되면 이 기술의 상용화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뉴욕대 랜곤 메디컬 센터의 재활치료 전문가인 프리티 라가반 박사는 약 5년 후에는 로봇팔 사용기술이 널리 쓰일 것이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