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위치정보서비스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미국과 러시아의 위성 항법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는 신기술인 무선망 연동형 위성항법시스템(A-GNSS) 측위 솔루션의 세계 최초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GPS위성망에 러시아가 구 소련 시절 미국 견제를 위해 개발해 운용 중인 글로나스(GLONASS) 위성망을 더해 정확도를 높이고 안정성을 더하는 것이 A-GNSS의 핵심이다.
GPS의 27개 위성으로 이뤄지던 위치정보 서비스에 글로나스의 24개 위성이 추가되면 더 정확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GPS 위성이 교란을 받거나 할 경우에도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져 안정성이 높아진다.
SK텔레콤이 서울, 경기 등 10개 지역에서 A-GNSS 자체 현장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GPS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오차범위가 줄어들어 정확도가 평균 16%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상대적으로 오차가 큰 고층빌딩 밀집지역이나 도심지역의 경우에는 오차범위가 더욱 줄어들어 정확도가 23%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말기 위치 확인에 활용되는 평균 위성 수가 GPS 단독일 때의 7개보다 2배 가까이 많은 13개가 활용돼 보다 나은 신호 상태의 위성을 선별해 위치 값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A-GNSS가 상용화되면 119와 같은 사회안전망 서비스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티맵(T map)과 같이 위성을 통해 이뤄지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도 향상된다.
다양한 위성을 사용해 첫 위치를 확인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현재보다 4초 이상 줄어들고, 경로 이탈 시 이뤄지는 경로 안내 서비스도 종전보다 빠르고 정확해져 운전자들의 편의향상과 티맵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A-GNSS의 상용화를 위한 서버 기능 적용을 8월말까지 마무리 짓고 연내 서비스 적용을 목표로 본격적인 추진 작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선 A-GNSS 기능을 지원하는 칩셋이 단말기에 장착되어야 해 서비스 적용 시기는 단말기 제조사의 신규 단말 공급 계획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A-GNSS 솔루션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칩셋 제조업체와 칩셋 조기 공급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강종렬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SK텔레콤은 지난 2002년 세계최초로 A-GPS 측위 솔루션 상용화를 시작으로, 지난10년 동안 와이파이(Wi-Fi) 측위 기술 상용화 등 국내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발을 선도해왔다”며 “이번 A-GNSS 솔루션 역시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SK텔레콤의 노력의 결실로 향후 사회안전망 강화와 티맵 등 위치기반 서비스 품질 향상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