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의서에 따르면, 경기 서해안권은 국제공항, 국제항만이 인접해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인적·물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외국인투자자금의 블랙홀이라 불리는 중국의 경제특구에 대항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이지만 수도권 각종 규제와 역차별로 입지적 강점과 기회요인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이에 협의회는 6월 5일 개최예정인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서 신청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했다.
이번 건의배경은 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이 임박한 상황에 민간평가단의 평가과정에서 지적된 기존 경제자유구역의 개발지연이나 송도 등 인근 경제자유구역과의 차별성 부족이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정부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건의서에서 밝힌 협의회의 입장은 신청지역의 경우, 정부 안팎의 우려의 목소리와는 달리 전혀 문제될 사안이 없으며 오히려 무한한 성장잠재력과 경쟁력을 지니고 있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시 국가경제에 큰 실익을 가져다 줄 것이 분명하므로 이번에 반드시 지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김윤식 시흥시장은 그동안 시흥시는 수도 서울의 쾌적한 환경을 위해 오염과 공해산업, 기피시설 등을 받아들이고 지방재정에 막대한 부담을 주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5차례에 걸친 임대주택과 보금자리주택 건설계획을 수용하는 등 국가의 필요를 위한 온갖 궂은 역할을 감당해 왔음에도 국가주도의 핵심개발계획에서는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소외돼 왔다고 언급했다.
기초지자체 자력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족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대규모 개발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만큼 국가가 책임감을 갖고 개발사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이번에 반드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기서해안권시장협의회는 2009년 10월 26일 경기 서해연안에 인접한 안산, 평택, 시흥, 화성, 김포 등 5개 시가 참여한 가운데 경쟁이 아닌 상호 협력을 통해 동북아지역 경제중심지로서의 서해안권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창립됐으며, 현재 반기마다 정기적인 회의를 개최하며 지역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