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청장 송종호)과 KOTRA(사장 오영호)는 삼성동 COEX 그랜드볼룸에서 6월 7일 ~ 8일 양일간 “Korea Media & Content Market 2012(KMCM2012)을 개최한다.
- 올해로 4회째 실시하는 이번 행사는 영화, 드라마 등 방송영상부터,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 스마트 미디어 그리고 한류스타 콘텐츠 등 문화콘텐츠 전반을 소개하고, 해외 바이어들과의 수출 상담을 벌이는 문화콘텐츠 및 미디어분야 B2B상담회로서,
- 중소기업들이 접촉하기 어려웠던 세계적인 기업의 글로벌 바이어들과 국내에서 직접 만나 상담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컨텐츠기업들에게 해외판로 개척기회는 물론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사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번 행사에 참가하기 위하여 전세계 24개국에서 총 96개사의 해외 글로벌 콘텐츠 기업들이 한국을 찾았다.
- 방송/영화 분야에서는 영화 아바타, 타이타닉등으로 유명한 헐리웃 영화스튜디오 The 20th Century Fox, 북미와 유럽의 국가에 영상콘텐츠를 배급하는 영국 Panini Media사, 일본 지상파채널 TV Asahi 등이 참가했으며,
-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전세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끈 영화 어벤져스의 초인들을 창작한 美 최대 코믹북社 Marvel Entertainment,
- 콘텐츠 분야는 ‘American idol’, ‘X-Facter’ 등 전세계 오디션 프로그램 열풍을 일으킨 Fremantle Media, 등 글로벌 정상급 기업들이 참가했다.
□ 이번에 참가한 해외 바이어들은 한국 드라마, K-POP, 한류스타 MD상품 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전세계적인 新한류 열기를 체감케 했다.
특히, 일본, 중국, 동남아 등 기존 한류권역 외에 50% 이상이 북미, 중남미, 오세아니아, 유럽 등 새롭게 한류를 인지하는 권역에서도 참가하는 등 큰 관심을 보였다.
- 멕시코의 지상파 채널이며,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중남미 전역을 커버하고 있는 TELEVISA의 경우, 한국의 게임과 드라마 구매를 희망하고 있으며,
- 국내 에니메이션 기업인 ‘네온펌킨’사가 미국 ‘Film Roman’사와 신작 Two Eyes를 공동제작 MOU를 체결하였다.
- 한편, 글로벌 이통통신 전문기업인 스페인 ZED Group의 경우, 한국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한국 온라인게임사의 국제적인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분야 역시 과거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이 중심이었다면 올해는 K-POP, 음악프로그램, 한류스타 MD상품 등에 대한 뉴미디어분야 수요가 두드러졌다.
- 전세계 65개국에 서비스중인 모바일 소프트웨어그룹인 ZED, 세계적인 음악레이블 Universal Music, EMI Group 등이 K-POP 및 한류MD상품에 러브콜을 보냈으며,
- 올초 ‘소녀시대’ 홍콩공연을 유치한 Lai Sun Group의 경우, 공연 유치 외에, 한국의 음악회사들과 파트너쉽을 원하고 있다.
□ 해외진출 상담회와 함께 6월 8일에는 국내 해외 진출 희망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류 활용 세계시장 진출전략 설명회”가 개최된다.
ㅇ 한류를 활용한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업의 이해를 도모하고, 더불어 한류 진출 단계별 진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며,
ㅇ 특히 일본 ‘산토리’사와 함께 배우‘장근석’씨를 활용한 ‘서울막걸리’ 브랜드 마케팅으로 일본내 매출을 3배나 높인 롯데주류의 사례 발표 등 한류활용 해외마케팅의 포인트 특강도 마련되어있다.
□ 중소기업청 이정화 해외시장과장은 “문화컨텐츠 산업은 고성장 산업이자 ‘저탄소 녹색성장’을 선도할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감과 동시에 동 행사가 문화컨텐츠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상담회로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ㅇ KOTRA의 김병권전략마케팅 본부장은 “작년부터 Google, Facebook 등 글로벌 포탈서비스들은, K-POP 허브페이지를 경쟁적으로 론칭하고 있는데, 라틴음악, 재즈 등의 음악 장르에 대등하게 한국가의 콘텐츠가 모이는 것은 한류의 잠재력에 대한 세계의 높은 평가를 알려준다.”며, “문화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동 행사를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 문화콘텐츠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며 각오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