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순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1일 수원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광교홀에서 열린 ‘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도내 기초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자원을 파악하고 지여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교류할 수 있는 사업을 확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선임 연구원은 이날 ‘경기도와 유관기관 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체계 구축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업무를 국가위임사무로 제한하지 말고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실행방안으로 이 연구원은 자체적인 북한이탈주민 관련 정책을 가진 지역에 대한 재정과 인력지원 추진, 지자체 평가 지표 항목에 북한이탈주민 관련 항목 확대, 하나원 및 하나센터 교육생 체험 프로그램에 지역주민을 참여시키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두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전연숙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연구지원센터 팀장 역시 “안정적 정착은 거주지를 중심으로 이뤄질 수 밖에 없으므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협업이 중요하다”라며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조했다.
전 팀장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산업단지 상황을 분석하고 일자리와 주택을 매칭한 중장기적 북한이탈주민 지역유입계획을 세워야 하며, 여성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보육시설과 보육지원 확대 등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경기도 31개 시·군, 도 내 6개 지역적응센터, 북한이탈 채용 공무원, 북한이탈주민 등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했다.
경기도는 2009년 9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북한이탈주민 돌봄상담센터를 개소한 이래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취업지원과 남북한 통일가족 만들기, 북한이탈주민 성공캠프 등 사회인식 개선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