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공청회에서는 작년 11월 발표한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의 후속조치로서 추진되고 있는 '전략적 핵심소재' 및 '소프트웨어 융합형 부품' 개발사업의 후보과제에 대한 세부 결과를 발표했다.
제안된 621여개 과제(국내 589개, 국외 32개)를 대상으로 133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3단계 평가를 거쳐 총 40개 후보과제를 선정했으며 이를 280명의 기획전담위원이 참여해 2개월간 과제별 세부기획을 진행했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김재홍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올해 선정될 20개의 '전략적 핵심소재' 및 'SW융합형 부품' 개발에 성공할 경우, 오는 2020년까지 약 10조원의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40개의 후보과제 중 선정될 20개 과제가 모두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2020년까지 2300여건의 특허 출원을 통해 총 10조원의 매출 달성과 함께 약 2만 20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예상된다.
지경부는 올해 8월까지 기술성 및 사업성 등을 고려해 과제간 경쟁을 통해 최종적으로 20개(전략적 핵심소재 및 소프트웨어 융합형 부품 각 10개) 과제를 선정하고 총 4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전략적 핵심소재 개발사업 10개 과제에 210억원을 최장 7년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소프트웨어 융합형 개발사업 10개 과제에 180억원을 최장 최장 5년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이번 사업은 주관기업을 중소·중견 기업으로 의무화하거나 우대하고, 정부출연금 지원 비율도 최대 70% 이상까지 가능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역량있는 중소·중견기업의 참여를 통해, 첨단 소재·부품 관련 기술 경쟁력을 확충, 글로벌 진출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경부는 이번 공청회와 함께 인터넷 공시를 통해 후보과제들을 공개적으로 검토하고 의견을 수렴해 보완한 후, 8월초 소재·부품 전략위원회에서 올해 지원 대상과제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