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2/07/16/20120716000427_0.jpg)
지난 4일 안전위는 고리 1호기에 대한 안전전검 결과 안전성이 확보됐으며 지난 3월 12일 고리 1호기에 대해 내렸던 사용정지 조치를 해제했다.
이번 결과로 고리 1호기는 법적으로 즉시 재가동할 수 있게 됐지만 실제 재가동이 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안전위 결정에 대한 환경단체 및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보다 거세기 때문이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와 탈핵부산시민공동행동, 핵 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 등은 고리 1호기의 가동 승인 무효와 즉시 폐쇄를 촉구했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국회 차원에서 검증할 때까지 가동을 보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합진보당 김제남 의원도 "국민에게 불안감만 가중시키고 법·제도 절차도 없이 강행되는 고리 1호기는 폐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은 지난 12일 전북도청 기자회견에서 "아직 착공되지 않았거나 건설계획만 수립 중인 신고리 5·6·7·8호기 및 신울진 3·4호기 건설 중단과 고리 1호기 재가동, 월성 1호기 수명 연장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고리 1호기의 원자로 재질이 애초부터 나빠 지금이라도 첨단 현미경으로 정밀점검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일본 원자로 압력용기 전문가인 이노 히로미츠 도쿄대 명예교수는 지난 11일 부산 동구 초량동 YWCA 강당에서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와 부산환경운동연합가 마련한 정책토론회에서 "한국의 원자력 규제당국이 고리 1호기 가동 1년 만인 1979년 샤르피 충격실험을 한 결과를 보면 최대흡수에너지가 65J(줄)로 기준치(68J)보다 낮았다"고 말했다.
사태가 걷잡을 수 없게 되자 정부도 한 발 물러섰다.
지식경제부는 이번 사안이 국민적인 관심사항인 점을 고려해 안전위의 점검 결과와 한국수력원자력의 안전운영 방향에 대해 주민설명회, 전문가 좌담회, 토론 프로그램 등 국민 및 지역주민들과 충분히 소통한 뒤에 적절한 시점에서 재가동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소통의 부재에서 비롯됐다.
부산시가 지난 10일 마련한 고리 1호기 지역주민 초청 설명회가 무산된 것도 사전에 충분한 소통 없이 떨어질 대로 떨어진 신뢰가 그 원인이다.
'충분한 소통만이 높은 신뢰를 보장한다'는 당연한 진리를 잊어서는 안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