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주택연금 출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가입건수는 9665건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 월 신규가입 건수가 300건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이달 초에 곧 1만번째 가입자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7년 7월 출시된 주택연금은 가입건수만 2008년 695건에서 2009년 1124건으로 61.7% 증가했다. 2010년(2016건)에는 전년 대비 79.4%, 2011년(2936건)에는 45.6% 늘었다.
주택연금이 인기를 끄는 것은 고령층이 자녀에게 노후를 의지하지 않으려는 의식 변화에서 기인한다. 게다가 주택경기 침체로 집값이 내려가면서 주택 보유와 상속 매력이 떨어진 것도 주 요인 중 하나다.
지역별로 주택연금 신규가입 현황을 살펴보면, 올해 상반기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가입건수는 1830건으로 전국 가입건수(2379건)의 76.9%를 차지했다.
그러나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전국의 65세 이상 인구 중 수도권 거주자 비율은 39.8%, 비수도권은 60.2%로 비수도권이 더 높다. 또 한국은행의 지난해 가계금융조사결과를 보면 거주주택 보유 비율도 수도권이 48.4%, 비수도권이 64.0%다. 결국 비수도권일수록 고령자에다, '내 집'을 가진 사람이 더 많다는 뜻이다.
비수도권에서 주택연금 매력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수도권에 비해 집값이 싸기 때문이다. 수도권에서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지면서, 일찍 가입해야 담보가치가 높다는 점을 감안해 가입자가 몰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직까지 자녀가 부모의 노후를 부양하고 주택을 상속받는 전통적인 문화가 비수도권에 깊이 남아있다는 점도 요인으로 꼽힌다.
집에 편중돼 있는 지방 고령층의 자산을 금융자산으로 바꾸고 지방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비수도권에서 주택연금 가입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