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조합은 최근 대의원회의를 열어 22.4%(1460가구)인 소형주택 비율을 25.6%(1699가구)로 높였다.
수정안에 따르면 ▲36㎡ 509가구(임대 348가구 포함) ▲46㎡ 294가구(임대 80가구 포함) ▲59㎡ 896가구(임대 80가구 포함) ▲84㎡ 2476가구 ▲101㎡ 748가구 ▲112㎡ 1084가구 ▲125㎡ 379가구 ▲156㎡ 139가구 ▲168㎡ 103가구를 지을 계획이다.
수정안은 기존안과 비교해 84㎡ 이상의 중대형이 129가구 감소했고, 60㎡ 미만 소형이 239가구 늘었다. 임대주택은 36㎡ 단일형에서 46㎡과 59㎡도 임대주택으로 배정했다. 같은 동에 임대·분양 주택을 혼합 배치하는 시의 '소셜믹스' 권고도 수용했다.
가락시영아파트 재건축조합 또한 60㎡ 미만 소형주택을 30%까지 늘린 재건축안을 시에 제출했다. 가락시영의 경우 개포주공1단지와 달리 소형주택을 늘린 것은 물론 9578가구의 30.006%인 2874가구에 소형주택을 지어 시의 '30%룰'도 수용했다.
수정안에 따르면 가락시영은 ▲39㎡ 1473가구 ▲49㎡ 601가구 ▲59㎡ 800가구 ▲85㎡ 5140가구 ▲99㎡ 600가구 ▲111㎡ 800가구 ▲136㎡ 140가구 ▲158㎡ 24가구 등 총 9578가구로 재건축된다.
가락시영 단지와 개포주공 1단지의 수정안과 관련해 서울시의 입장은 다소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 '30%룰' 수용 여부에 따른 것이다.
일단 시는 가락시영 수정안은 16일께 시보에 '가락시영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구역 지정안'을 고시할 예정이다. 개포주공 1단지의 수정안은 도시계획위원회 본회의 상정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