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최근의 가공식품 가격의 인상과 관련, “기업의 편법 인상과 담합에 대해서는 경쟁 당국을 통해 엄정히 법을 집행하고 부정이익은 적극적으로 환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물가가 1%대의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7월 말 이후 폭염에 따른 농산물 가격 인상과 일부 가공식품 가격조정 등으로 식탁 물가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최근 CJ제일제당이 즉석밥 햇반의 가격을 10년 만에 올리고서 음료수, 과자, 라면 등 가격이 줄줄이 상승했다.
박 장관은 “가공식품 가격 인상은 소비를 더욱 위축시키는 만큼 가격 인상 요인을 최대한 (업체 스스로)흡수해야 한다”며 식품업계의 가격인상 자제를 주문했다.
박 장관은 “일부 대형 유통업체가 생필품 가격을 3개월 동안 동결하기로 한 것은 반가운 소식”이라면서 “가공식품업체와 여타 유통업체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애그플레이션(곡물가격이 오르면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우려와 관련해서는 “기상 이변 등으로 인한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은 4~7개월의 시차를 두고 물가관리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8월 말 이후 연말까지 시계를 넓혀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의 가격에 대한 예측과 대응방안을 종합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전국에 비가 내리고서 폭염이 한풀 꺾여 다행스럽지만 폭염 여파는 일정기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기상변화에 따른 농축수산물 수급 안정 대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농어업재해대책상황실을 유지해 재해 예방과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고 폐사로 공급이 줄어든 닭고기의 수급조절을 위해 업계 비축물량(7000t)의 출하를 확대할 계획이다.
8월 말까지 추석성수품 수급안정대책을 수립하고 연말까지는 시계를 넓혀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의 가격 예측과 대응방안을 종합적으로 마련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