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 국무총리는 28일 오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초특급 태풍 ‘볼라벤’ 북상에 대해 “특히 전기, 통신, 교통, 수도 등 국민 생활에 영향이 큰 국가기반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수확기를 앞둔 농작물 침수, 낙과 등에도 철저히 대처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국방부 등 관계부처는 긴급지원체계를 가동해 주민지원 및 피해복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김 총리는 “추석이 한달여 앞으로 다가왔으나,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서민생활의 어려움도 계속되고 있다”며 “선제적이고 세심하게 추석 명절 민생대책을 챙겨 나가야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서 장관은 “태풍으로 피해를 본 농가는 부채가 늘어날까 우려된다”며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사과, 배, 감, 귤 등의 풍수해보험 예산 증액 및 대상품목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낮 12시 현재 태풍 피해 농경지는 과수 798㏊, 벼 314㏊ 등 1112㏊에 달하며 비닐하우스 파손, 어선 좌초, 양식장, 양봉장 등의 피해도 크다.
농식품부는 올해 1584억원인 풍수해보험 예산을 내년에 2700억원으로 확대해 달라고 예산 당국에 요청해 놓은 상황이다.
또 태풍 ‘볼라벤’으로 피해를 본 가계와 중소기업에 금융당국이 금융지원을 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이날 “은행, 보험, 정책금융 등에서 전방위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태풍 피해자에게 보험금 납부를 유예하고 보험계약 약관대출의 원리금 상환을 미뤄주는 지원책을 보험업계와 협의하고 있다. 최장 12개월의 유예기간을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은행권에는 가계와 중소기업 대출의 만기 상환 요구를 자제하고 원리금 납부를 연장하는 방안을 요구하기로 했다.
태풍 피해가 큰 중소기업에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이 특별보증을 하도록 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태풍 피해 상황에 따라 전체적인 금융 지원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은행권과 보험업계도 자체적으로 고객 피해 현황을 파악하면서 각종 지원책을 내놓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