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봉균 서울대 교수 |
이에 따라 사고 등으로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받은 사람들의 기억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강봉균 서울대 교수(사진)팀이 기억이 재저장되는 과정이 모두 동일한 시냅스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바다 달팽이의 일종인 군소를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추가적으로 단백질 분해 억제제와 단백질 합성 저해제를 함께 처리하면 단백질 합성 저해제에 의해 기억이 사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도 발견했다.
특정 기억이 재저장될 때 필요한 유전자인 ApC/EBP의 mRNA가 ApAUF1이라는 단백질이 DNA에 적혀있는 유전정보를 mRNA로 옮긴 후에 조절된다는 메커니즘도 알아냈다.
앞서 연구팀은 감각 신경세포와 운동 신경세포 사이의 시냅스에 의해 저장이 되는 특정 기억이 재저장되는 과정을 거칠 때 단백질의 분해와 재합성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밝힌 바 있다.
강 교수는 “이 연구는 기억이 재구성되는 과정이 시냅스에서 결정된다는 것을 처음 규명한 것으로 앞으로 특정 기억을 유지하거나 지우는 과정에 응용돼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신질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