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최고위원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저는 당대표 경선에 나섰을 때도 당의 변화와 쇄신을 요구했다. 그러나 요구만 했지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며 "쇄신을 이끌어야 할 지도부가 쇄신의 대상으로 지목받게 되면서 자괴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변하지 않고는 이길 수 없다"며 "지도부는 지도부 자신까지 쇄신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감수하고라도 변화와 쇄신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기정 최고위원도 “실패한 룰을 만들어 낸 데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도 “경선대회장에서 폭력과 파행에 대해 후보들의 책임도 면죄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후보들은) 그 사태를 방지하는 데 노력했어야하고, 단합을 호소했어야 한다”며 “김두관 후보가 말한 4명의 후보와 당대표가 만나는 4+1 모임을 성사시켜서 쇄신방안을 논의해야 할 때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추미애 최고위원은 대선 경선과정에서의 소란을 언급하며 “폭력으로부터 탄생되는 후보는 누구라 한들 지지를 받기 어렵다”며 자제를 부탁했다.
또 “당심만으로는 이길 수 있는 후보 만들 수 없다. 때문에 완전국민경선제를 약속했으며, 완전국민경선제 편의를 위해 모바일 투표를 하기로 전제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도 “경선에서 소란이 있는 것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있다”며 “경선이 끝나면 하나가 돼 정권교체를 위해서 함께 나가자”고 의지를 모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