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10일 오후 관계 각료회의를 열어 센카쿠 열도의 5개 무인도 중 우오쓰리시마(魚釣島), 미나미코지마(南小島), 기타코지마(北小島) 등 3개
섬을 개인 소유자로부터 20억 5000만엔(한화 약 300억원)에 사들여 국유화한다고 공식 결정했다.
각료회의에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와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 아즈미 준(安住淳) 재무상, 하타 유이치로(羽田雄一郞) 국토교통상이 참석했다.
11일에는 내각회의를 열어 센카쿠 매입을 위한 예비비 지출을 결정하고 섬 소유자와 매매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센카쿠 국유화는 지난 4월 일본의 우익 정치인인 이시하라 타로(石原愼太郞) 도쿄도 지사가 센카쿠 매입 방침을 밝히면서 시작됐으며 이후 노다 총리가 주도하면서 속도를 냈다.
노다 총리는 한국과 독도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한 상황에서 중국과의 갈등까지 확대되는 것을 막기위해 “센카쿠를 국유화하는 대신 당분간 상륙과 조사, 개발 등의 실효지배 강화를 하지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얼렁뚱땅 센카쿠를 국유화해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일본의 의도를 읽은 중국은 오히려 더욱 강력하게 반발했다.
한편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9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 노다 총리를 만나 일본의 센카쿠 매입은 불법이고 무효라고 주장하고 “영토주권 수호를 위해 중국 정부는 결연한 태도로 임할 것”이라면서 “일본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잘못된 결정을 내리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에 노다 총리는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지 못하고 “대국적 관점에서 대응하자”고 갈등의 진정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