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는 11일 이사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안건이 최종 의결됨에 따라 오는 12일 자금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쌍용건설은 지난달말 협력업체에 지급해야 할 전자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B2B) 결제가 가능해졌다.
캠코 관계자는 “쌍용건설 대주주인 부실채권정리기금의 관리자로서 쌍용건설의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전했다.
캠코측에 따르면 쌍용건설의 대주주는 캠코가 아닌 부실채권정리기금이다. 예정된 기금 청산 시한인 올 11월 22일이 지나면 부채기금은 국가에 반환되는 등 지원에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쌍용건설이 해외건설 시장에서 활발한 사업을 펼치는 등 이 회사의 가치를 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캠코 고유계정의 자금을 투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장영철 캠코 사장은 “쌍용건설 위기 시 약 1400개 협력업체 위기 초래 및 국내 건설사의 해외 신인도 하락 등 국가경제적 측면을 고려했다”며 “조만간 채권은행의 조속한 지원도 이루어 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