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태원 새누리당 의원에 제출한 ‘수능 한국사 지원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사가 수능 선택과목으로 변경된 2005학년도에 전체 응시자의 27.7%가 국사를 선택했지만 2012학년도에는 6.9%로 하락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지난 2005학년도 27.7%, 2006학년도 18.3%, 2007학년도 12.9%, 2010학년도 11.3%, 2011학년도 9.9%, 2012학년도 6.9%로 수능에서 국사를 지원하는 학생이 해마다 줄었다.
이는 상대평가인 수능에서 높은 등급을 받아야 하는데 학습량이 많고 사건과 연대, 인명 등을 외우기 어려운 국사의 특성에 따라 외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이에 정부가 지난해 한국사를 다시 고교 필수과목으로 변경했지만 수능에서는 여전히 선택과목으로 남아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일선 학교에서는 의무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방편으로 한국사를 주당 6시간씩 배정해 한 학기에 모두 마치는 학교도 적지 않다”며 “게다가 2014년부터는 수능 선택과목이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 국사를 배우려는 고교생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 등 역사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내용으로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