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미래에셋증권 이진우 연구원은 “지난 1980년 이후 미국 대선 이후 주가 흐름을 보면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던 경험이 많았다”며 “미국시장과의 상관계수 역시 대선 이후 오히려 강화되는 것이 반복적으로 관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원은 “관건은 업종 흐름인데 역대 미국 정권의 재임 시 이전의 주도업종의 구조는 바뀌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는데 현재 해당 종목은 IT,제약업종, 소비재 등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향후 주식시장은 미국 정부의 재정절벽 대응 방식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이 연구원은 예상했다.
그는 “기존 정치 역학구도가 유지되면서 재정절벽 문제가 임시예산안 만료 시점인 내년 3월 말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미국의 내년 1분기 성장률이 올해 하반기보다 낮아질 위험 높아질 수 있지만 재정언덕 상황이라는 점과 이슈가 해소된 2분기부터 강한 경기반등이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 미국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