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오바마 2기 행정부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회복을 위해 수출 확대와 제조업 지원 등 비전통적 자국산업 보호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이어 우리나라의 자동차와 무선전화 등 대(對)미 수출비중이 큰 기업을 상대로 기술적인 규제에 나설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최대한 활용하고 다양한 정례 위원회를 통해 갈등 요인을 풀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한 미국 통상정책의 최종 권한이 의회에 있는 만큼 하원 세입위원회, 상원 재무위원회 소속 의원 등 민주당, 공화당 관계자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적극적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는 일본의 TPP 참여 여부와 동북아지역의 FTA 현황 등을 살펴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옳다고 평가했다.
중국에 대한 통상압력을 강화하면 세계시장에서 중국의 저가 수출 공세가 상대적으로 약해지겠지만, 중국 진출 및 수출기업에는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소는 아울러 재정절벽 해소 과정에서 오바마 정부와 공화당이 갈등을 빚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는 수출입, 환율, 주가 등 우리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살피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