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정재은 신세계그룹 명예회장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실천 전략으로 '책임혁명'을 제시했다.
정재은 명예회장은 9일 본사 문화홀에서 열린 임직원 특강에서 최근 기업과 사회간 갈등에서 오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스마트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명예회장이 강조한 스마트 기업은 경제적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기업상을 뜻한다. 이는 '기업의 이익을 줄이고 사회적 이익은 늘린다'는 개념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으로, 기업과 공동체가 함께 발전해 나가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그는 이날 강연에서 △골목상권 침해 △불공정 거래 △일감 몰아주기 등 최근 거론된 문제점에 대해 기업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에 정재은 명예회장은 사회적 책임 실천 전략으로 '책임혁명'을 제시했다.
책임혁명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사회적 책임에 대해 제정한 ISO 26000과 마이클 포터 하버드대 교수가 정립한 공유가치창출 개념을 토대로 한 것이다.
정 명예회장은 이를 위해 ISO 26000의 7대 핵심 영역인 △지배구조 △인권 △노동 △환경 △공정운영 △소비자 △지역사회에 대해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7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지배구조와 관련해서는 사원, 협력사, 고객 등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의사결정에 반영할 것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신세계 임직원 및 협력사 직원 모두의 인권과 노동 환경을 개선하고, 근로자 의욕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글로벌 수준의 인권·노동 규정 마련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환경에 대한 책임 실천 발안으로는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 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는 한편, 회사가 커져도 이산화탄소 절대량을 줄어들 수 있도록 총량개념 관리 방안도 제안했다.
공정운영과 관련, 공정거래법 등 법률 준수 차원을 넘어 유망한 중소 협력사를 선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 신세계와 협력회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 권익 증진을 위해 미국 월마트 '건강식탁 5개년 계획'과 같은 제도를 검토하고, 원산지 점검 강화·고객 정보보호 등 고객 신뢰도를 높이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전했다.
또 지역사회 내 동네슈퍼에 이마트 운영 경험을 전수하는 등 골목상권과의 상생방안을 찾고, 지역 친화 투자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정 명예회장은 책임혁명을 추진하기 위해 세부적인 전략과 실천 계획을 수립하고, 대내외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특강에는 구학서 회장을 비롯해 신세계그룹사 대표와 임원, 백화점과 이마트의 실무 책임자급 부장 이상 간부 300여명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