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극지정책 25주년을 맞아 국가적 차원의 극지정책 비전 및 방향 제시를 위한 ‘극지정책 선진화 방안’을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수립·발표했다.
마지막 미개척지 극지는 과학연구와 경제적 자원 확보 등 전략적 가치 때문에 세계적 관심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극지관련 연구 등을 주도하는 Polar-7을 목표로 정책 환경이 다른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식 정책 등 남·북극을 아우르는 ‘Bi-Polar 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방안에 따르면 우선 근거 법률을 제정하고 정부차원의 북극정책 마스터플랜을 마련해 정책적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북극정책의 기본방향 및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북극해 전문가양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북극항로 개척, 해양플랜트 및 조선산업 육성, 자원개발 참여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신성장동력도 창출한다.
북극항로 개방에 대비해 시범운항 및 운항인력 양성 등 구체적 대비와 연안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조선·해양플랜트 생산기술을 극지지역으로 확대해 극지용 선박·해양플랜트 생산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 북극해 자원개발 참여를 위해 북극해 연안국들과 협력을 공고히 해나가기로 했다.
남극의 경우 장보고기지를 차질 없이 건설하고 쇄빙선 아라온호를 이용해 다양한 국제협력을 추진하는 등 이미 구축된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남북극해 개별연구방식에서 양극해 비교연구 방식으로 전환해 연구 효율성을 높이고 기초과학에서 극한지 건설공학, 로봇 등 응용연구 분야로 확대된다.
급변하는 북극해 환경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및 부설 극지연구소의 기능을 강화하고 해양관련 대학․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극지정책의 발전방향 및 전략에 대한 의제를 발굴·연구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남북극을 둘러싼 상이한 정책 환경을 충분히 고려해 맞춤식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현 극지정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