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1%대..‘체감물가와 괴리’는 여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2-03 16: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저소득층, 서민밀접품목 vs 고소득층, 교육물가 <br/>내년 2월까지는 전반적 지표상 물가 낮게 측정될 것

아주경제 유지승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개월 만에 다시 1%대로 진입하며 안정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저소득층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다. '서민 밀접품목'인 식료품비, 교통비, 전셋값 등이 많이 올라 체감물가와의 괴리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6% 상승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2개월간 2%대를 유지하다가 지난 8월(1.2%) 이후 다시 1%대로 떨어졌다. 10월 0.1% 내린 데 이어, 11월에도 0.4% 떨어지며 하락세를 지속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배추·파 등 신선식품은 크게 올랐다. 채소류·과일류 등의 가격 변동을 보여주는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보다 6.6% 하락했지만 1년 전에 비해선 8.0%나 치솟았다. 구체적으로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배추(90.3%), 파(89.0%), 무(54.4%), 배(46.6%) 등이 급등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이밖에 소비자 체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철료(13.2%), 시내버스료(10.1%), 지역난방비(12.0%), 도시가스비(4.7%), 전기료(2.1%), 전셋값(3.9%)와, 월세(2.1%)도 전년 동월보다 오름세를 보였다.

서민 밀접품목의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어 가뜩이나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저소득층의 체감물가가 더 높게 느껴진다. 이는 수년간 저소득층의 물가가 고소득층의 물가보다 더 가혹하게 올랐기 때문이다. 실제로 소득수준에 따라 소비구조가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계층별로 감내해야 할 물가부담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통계청 가계지출과 소비자물가상승률 자료를 토대로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소득 하위 20% 계층(저소득층)의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2.4% 올랐다. 반면, 소득 상위 20% 계층(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은 1.5% 오르는 데 그쳤다.

이처럼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이들의 소비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은 식료품 소비가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 기준 20.1%로 상대적으로 높지만, 고소득층은 전체 소비규모가 커 지출에서 식료품이 점하는 비중(11.4%)이 낮다. 이 때문에 식품 가격이 오르면 저소득층의 물가부담이 더 커지는 것.

반면 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이 저소득층을 웃돌았던 기간은 대체로 고소득층의 교육비 상승이 두드러졌을 때로, 이는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 비중(14.1%)이 모든 지출 가운데 가장 크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지표상의 물가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경기불황 등의 이유로 체감물가는 더 크게 느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김장철 채소 물가와 공공요금 등 서민 밀접품목이 많이 오른 상태이며, 요즘처럼 경기가 안 좋고 소득이 좋지 않을 때는 약간의 가격 변동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체감물가가 더 안 좋게 느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무상보육지원 등 복지정책으로 인해 내년 2월까지는 전반적인 지표상 물가가 낮게 측정될 것"이라며 "정부에서 보다 계절적 요인을 고려해 적절한 시기에 수급 조절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동민 KB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물가는 먹거리가 차지하는 부분이 큰데 현재 서민과 밀접한 물가가 불안한 상태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볼 수 없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