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WP)는 18일(현지시간) 오바마 대통령이 조 바이든 부통령 등에게 지난 2004년 효력이 만료된 공격용 총기(assault weapons) 금지법 부활을 포함한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백악관 측은 이번 대책의 윤곽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다수의 인명을 살상할 수 있는 총기 소유 및 거래와 정신질환 병력자들의 무기 소유를 더 엄격히 제한하는 안이 담길 전망이다.
이와 함께 보통 PG-13(부모 지도 아래 13세 이상 관람할 수 있는 등급)이나 T(틴에이저들 구입 가능)로 매겨지는 폭력적인 영화 또는 비디오 게임의 등급 부여를 더 엄격히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WP등 미국 언론들은 “오바마 2기 행정부가 포괄적 이민 개혁, 정부부채 문제 등 해결해야 할 사안이 산적했지만, 재선 부담이 없는 만큼 총기소유 규제를 밀어붙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히고 있다. 전국에 40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NRA(전미총기협회)의 로비 등에 맞서 민주당, 공화당 어느 쪽 정부도 그동안 적극적으로 공격용 총기 규제 법안을 내놓지 않았다.
특히 이번 코네티컷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고로 6세 안팎의 어린이들 20명을 포함해 교사 6명 등이 사망하면서 대책 마련을 늦춰서는 안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도 작용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ABC 방송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살상용 총기 규제 법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은 54%로 5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규제 법안에 반대한다는 여론은 43%로 나타나 보통 총기 규제법안을 반대해 온 여론이 많았던 현상이 이번 사건으로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대책 마련엔 안 던컨 교육부 장관, 에릭 홀더 법무장관, 캐슬린 시벨리우스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임시팀을 꾸려 나설 예정이다.
한편 미국총기협회(NRA)가 이날 지난 14일 사건 발생 후 처음으로 애도성명을 발표했다.
NRA는 웹사이트에 “끔찍하고 무분별한 사건에 충격, 슬픔과 비통함을 느낀다”며 “이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NRA는 오는 21일 워싱턴DC에서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라 정치권에서 강하게 불고 있는 살상용 총기 규제 대책에 협조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