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지난 9~10월 서울시 소재 소기업ㆍ소상공인 사업체 1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체감경기 전망지수가 61.4로 집계됐다.
체감경기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전반기보다 호전, 미만이면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상공인진흥원과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이 전국 3200개 소상공인 사업체를 대상으로 체감경기지수를 조사한 결과 올해 5월 100.2에서 6월 86.4, 7월 82.1, 8월 81.6 등으로 하향곡선을 그리기는 했지만 80 이상을 유지했다.
응답자들은 경기 전망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가장 큰 이유로 내수ㆍ수출 수요의 감소(현황 84.1%, 전망 83.6%)를 지목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현황 63.9%, 전망 62.3%), 판매조건 악화(현황 59.8%, 전망 61.0%), 자금 사정 불안정(현황 49.5%, 전망 48.9%)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는 숙박ㆍ음식점업(59.1)과 도ㆍ소매업(59.0)이 가장 낮았다.
반면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ㆍ정보서비스업은 76.5를 기록해 타업종보다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았다.
경영활동 관련 항목별 지표를 살펴보면 매출(현황 54.3, 전망 70.3), 영업이익(현황 48.9, 전망 65.9), 자금 사정(현황 55.5 전망 69.0)이 모두 100 미만으로 나타나 서울시내 소기업ㆍ소상공인이 경영 전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신보 관계자는 “이번 체감경기지수 조사를 시작으로 풀뿌리 경제의 체감경기를 분석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소기업·소상공인 정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재단 내 조사연구 부서 개설 등을 통한 연구지원과 정책제언 기능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와 팩스, 대면 조사를 병행했으며 96% 신뢰 수준의 표본오차는 ±2.9%p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