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창의원예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도시원예 사회적협동조합’이 지난달 20일 교육과학부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았기 때문.
무엇보자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한 이후 교육과학부에서 인가한 최초의 사회적협동조합이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도시원예 사회적협동조합은 고학력 경력단절 미취업 여성을 강사로 양성, 일자리창출에 기여함과 동시에 원예식물을 활용한 아동 및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적 함양이라는 사회적 목적을 가지고 운영된다.
또 협동조합기본법에 의해 기존의 도시원예연구소에서 전환 설립한 사례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탄탄한 조직체계와 수익구조를 갖추어 기존의 노하우와 지역사회 자원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 기본법 시행 전부터 체계적이고 발 빠른 준비를 했다는 점 등이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인가된 요인으로 보인다.
한편 성남시에는 ‘도시원예 사회적협동조합’ 외에도 ‘일하는 학교 사회적협동조합’이 지난 26일에 창립총회를 여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동조합이 설립 준비를 하고 있고, 인증 사회적기업을 포함, 50여 개 이상의 사회적경제조직이 운영되는 등 사회적 경제의 메카도시로 떠오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