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29일 최근 전국에 거주하는 주부 500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먹거리 불안에 따른 소비행태 변화로 ‘시크(C.H.I.C)’, 즉 ‘신뢰(Credible)’, ‘건강‘(Healthy)’, ‘저비용(Inexpensive)’, ‘간편(Convenient)’을 제시했다.
‘시크(chic)’는 ‘도도한’, ‘세련된’ 등의 뜻이며 최근 까다롭고 콧대 높은 성향을 지칭할 때도 많이 쓰이고 있다.
![]() |
최근 식품 소비패턴 키워드 [자료=대한상의] |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입식품의 안전에 대해서도 ‘불안하다’는 답변이 57.8%로 6.4%에 그친 ‘안전하다’라고 답한 응답자들을 크게 웃돌았다.
서울 성북동에 사는 주부 A씨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산지를 꼭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며 ”이제 먹거리를 선택하는 첫 번째 기준은 가격이나 양을 고려하기 보다는 가족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제품을 먼저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무농약·유기농 식품으로 건강을 챙기려는 주부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전에 비해 무농약·무항생제식품 구매를 늘렸는지’에 관한 질문에 35.2%가 늘렸다고 답했고 (비슷하다 45.0%, 그렇지 않다 19.8%) ‘국내 유기농 농산물 구입을 늘렸느냐’는 질문에도 30.8%가 늘렸다고 답했다.
또 최근 국내 식품물가수준에 대해 10명 중 9명 이상의 주부들이 ‘높은 편’(90.2%) 이라고 답했다.
이에 따라 주부 10명중 6명은 ‘가급적 저렴한 상품을 구입하고 있다’(64.0%)고 답했고, 3명중 1명은 ‘신선식품보다 가격이 저렴한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일이 잦아졌다’(34.1%)고 답했다.
아울러 조리가 간편한 가공식품 소비량을 3년 전과 비교한 질문에도 ‘늘었다’(37.8%)는 응답이 ‘줄었다’(25.6%)는 응답보다 많았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후쿠시마 원전 피해지역 해산물과 중국산 짝퉁 먹거리 문제 등으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FTA 본격화로 이러한 제품 원산지 문제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부는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 관리체계를 한층 강화하고, 기업들은 식품이력추적관리 제도 등을 확대하여 소비자 불안을 해소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