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기 착륙 사고> 공항에 자동착륙유도장치 꺼진게 이유?

  • "1997년 대한항공 보잉 747기 괌 추락사고와 유사"

<사진: 신화사>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착륙 사고가 발생한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의 자동 착륙유도장치가 사고 당시 꺼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의 데버라 허스먼 위원장은 7일(현지시간)“우리가 파악한 바로는 항공기 조종사들에게 이 공항의 ‘글라이드 스코프’(glide slope)가 꺼져 있다는 통보가 전달됐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부터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진행된 공사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됐다.

항공전문가인 체슬리 슐렌버거는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는 활주로의 안전공간을 확장하는 공사가 연방항공청(FAA)의 지시로 진행되고 있었다”고 말했다.

글라이드 스코프는 비행기가 활주로에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들어오도록 유도하는 장치다. 지난 1997년 8월 발생한 대한항공 보잉 747기의 괌 추락사고 당시에도 아가냐 공항의 이 장치가 고장나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