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철도 10개 노선 건설 추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7-24 18:4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이상 기자=서울 시내 어디에서나 걸어서 10분이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철도 중심 시대'가 열린다.

서울시는 24일 대중교통체계를 철도 중심으로 바꾼다는 계획에 따라 9개의 경전철 노선(총 85.41㎞)과 1개의 지하철 연장선을 단계적으로 건설하는 내용의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시가 조성할 9개의 경전철 노선은 △신림선(여의도~서울대앞) △동북선(왕십리역~상계역) △면목선(청량리~신내동) △서부선(새절~서울대입구역) △우이-신설 연장선(우이동~방학동) △목동선(신월동~당산역) △난곡선(보라매공원~난향동) △위례-신사선(위례신도시~신사역) △위례선(복정역~마천역) 등이다.

2007년 당시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들어 있던 상암동 DMC선은 주변 개발계획이 취소됨에 따라 이번에 제외되고 난곡선이 추가됐다.

아울러 현재 3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지하철 9호선은 지난해 12월 확정된 정부의 광역교통 개선대책에 따라 보훈병원~고덕1지구 구간(3.8㎞)을 추가로 연장한다.

경전철 신림선은 여의도에서 서부선과 연결된다. 서부선은 장승배기~서울대입구역 구간이 연장됐다. 목동선은 서부트럭터미널~강월초교 구간으로 조성된다.

신규노선인 위례신사선과 위례선(신도시 내부 트램)은 위례신도시 교통수요 등 타당성이 검증됨에 따라 추가로 선정됐다.

시는 10개 노선 외에도 도심과 강남, 여의도 등 3대 거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동빙고~삼송), 남부급행철도(당아래~잠실), KTX동북부 연장(수서~의정부) 등 광역철도 3개 노선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10개 노선의 총 사업비는 8조5533억원이다. 국비에서 1조1723억원이 투입되고 시비 3조550억원, 민자 3조9494억원, 개발사업자 분담금 3766억원으로 나눠 조달한다. 이용요금은 교통복지 차원에서 차등요금제 계획을 폐지하고 도시철도와 동일한 요금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0년 내에 서울시 어느 곳에서나 10분 안에 지하철역에 접근할 수 있는 철도 및 보행 중심 교통체계로 재구성하겠다"며 "시민들이 우려하는 경전철 민자사업에 대한 불신이 발생하지 않도록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시민 부담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