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TV 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

아주방송 양아름, 이주예=앵커) 안녕하세요? 3.1운동과 일본 관동 대지진 피살자 명부가 사상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이것으로 일제강점기 피해배상 문제가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해, 글로 쓰고 발로 뛰는 글로발 기자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네 최근, 국가기록원이, 1953년 이승만 정부가 작성한 3.1운동 시 630명의 피살자 명부와 일본 관동 대지진시 290명의 피살자 명부, 일제 강점기시 22만 9천명의 피징용자 명부 등 3가지 명부 67권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죠.

기자) 네, 이들 명부는 지난 6월 주일대사관 청사 신축에 따른 이사 과정에서 발견된 것인데요, 국가기록원은 이를 이관 받아 명부별 분석 작업을 거쳐 어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이들 명부는 1952년 12월 15일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당시 대통령의 지시로 내무부에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한 명부입니다. 1953년 4월 제2차 한일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기록원은 밝혔습니다.
 
앵커) 네, 그렇군요. 이번 명부가 발견되면서 자연스럽게 한일 간 피해보상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

기자) 우리 정부가 기존에 파악한 희생자 28만여 명보다 최대 4만여 명이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3·1운동과 일본 간토 대지진 피살자 수는 그동안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아 기존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른 배상에 포함되지 않았었는데요, 이번에 공개되면서, 피해보상 문제가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기존 우리 정부가 보유 중인 강제동원 등 일제강점기 희생자 명부는 크게 두 가지로, 우리 정부가 1957~1958년에 작성한 '왜정시 피징용자 명부(28만5771명)'와 일본으로부터 수차례 걸쳐 넘겨받은 '피징용사망자연명부(48만636명)'등입니다.
 
앵커) 네, 왜정시피징용자명부, 매우 생소한데요, 어떤 것인가요?

기자) 네, 여기서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명부가 바로 우리정부가 작성한‘왜정시피징용자명부’입니다. 기존 '왜정시 피징용자 명부'는 28만여 명에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최대 4만여 명을 더 할 경우 우리 정부가 파악한 일제강점기 피해자만도 총 32만 명 선으로 늘게 됐습니다. '왜정시 피징용자 명부'는 신고접수 후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50여 년간 방치됐다가 2006년 2년 6개월에 걸쳐 2000명 이상의 시·군·구 공무원이 투입돼 전수조사를 거쳐 검증됐습니다.
 
앵커) 네, 이번에 발견된 명부에는, 그간 피해자 수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3·1운동과 간토대학살 희생자까지 포함돼 있어 그 의미는 더 큰 것 같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그동안 3·1운동을 하다 순국한 이들 중 공식적으로 인정된 독립유공자 수는 391명에 불과한데, 이번 피살자 명부 발견으로 그 숫자는 3배 가까이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대표적인 일제 만행으로 꼽히는 3·1운동 탄압과 간토대학살 피해자들이 객관적 조사에 따라 추가됐기에, 이들에 대해 일본 측이 추가적인 배상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고조될 전망입니다.
 
앵커) 네, 일본 정부, 가만히 있을까요?

기자) 그동안 일본정부는 1965년 맺은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우리 국민에 대한 피해배상이 마무리됐다고 주장해왔습니다. 협정 8개 항목에 간토대학살 등이 포함돼 있지 않아 이들에 대한 일본의 실질적 배상이 이뤄지지 않았던 것이죠. 그러나 이번 발견으로 간토대학살 피해자 명부가 구체적으로 들어나면서 추가 배상 요구가 한일 관계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이번에 공개된 '3·1운동 피살자명부'에 따르면, 일부 지역의 경우 우리 국민들의 성명, 나이, 주소, 순국일시 등이 자세히 기록돼 있어 사료적 가치 뿐 아니라 향후 독립유공자 선정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명부가 발견된 것에 그치지 않도록 정부의 세부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오늘 준비한 정보는 여기까지고요, 다음 주에 더 알찬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글로발 기자=아주경제 이주예 아나운서, 강정숙 정치부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