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1차 공소장의 증거로 제시된 5만5000건 중 2만7000여건의 증거는 검찰이 스스로 ‘잘못됐다’, ‘엉터리이다’ 하고 철회하면서 나머지 2만8000여건에 대해 단순히 봇(bot) 프로그램인가 하는 것으로 기계적 리트윗한 것을 포함해 그 양을 억지로 43배까지 불려서 발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 결과도 만족하지 못하겠다는 것인지, 민주당은 여전히 특검을 요구하며 대선 결과 흔들기를 계속하고 있다”면서 “검찰 수사에 대해서는 여권에서도 솔직히 할 말이 많으나 현재 진행형이고 검찰 수사의 타당성 여부는 법원이 판단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수사 결과를 발표할 때마다 사사건건 정치권에서 왈가왈부한다면 포청천이 와도 수사 결과는 정쟁거리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제 먹고사는 문제와 아무 관련 없는 국정원 댓글 사건은 사법부에 맡겨두고 최소 연말까지라도 국회 본연의 임무인 법안과 예산 처리로 되돌아갈 것을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경제관련 입법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당장 필요해 내놓았는데 처방 적용 시점이 몇 개월 후가 된다면 그 처방은 독이 될 수도 있는 게 경제정책”이라며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의 처리 협조도 주문했다.
최 원내대표는 황찬현 감사원장 임명동의안 처리와 관련해 “행정기관의 수장을 임명하는 인사 문제까지 정치적 거래 수단이 되도록 해서는 안 된다”면서 “이런 식의 타협은 절대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야당 설득을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할 것이지만 종국에는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면서 “모든 사안의 출구를 다 막아놓은 소위 ‘국회마비법’ 조차도 이 사안에 대해서만은 직권상정의 유연성을 인정해놓고 있다”며 강행 처리 방침을 시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