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이사장은 9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는 지난 8개월간 배우고 구상했던 것들을 구체적으로 펼쳐나가고 싶다는 뜻을 전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과 수원국(受援國)의 정부와 국민, 비정부기구(엔지오·NGO)가 현장에서 협업해 가장 큰 효과를 만들어내는 원조ㆍ개발사업을 하고 싶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그는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 호주, 멕시코, 터키 등 원조 공여국들과 그간 협조 관계를 맺고 있어 이제는 구체적으로 손을 잡고 의미 있는 사업을 만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코이카 조직 내부로는 '개혁'을 강조했다.
그는 "코이카는 국민에게 책임지는 기관입니다. 그런데 지역별로 조직이 구성돼 있다 보니 전문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고, 전문성 있는 직원들도 조직 안에 숨어 있었다"면서 "이들을 간판에 내걸고 외부 공동체와 소통도 하고자 조직을 개편한 겁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전략기획부에 있던 사회개발팀과 경제개발팀을 '경제사회개발부'라는 새 부서로 묶어 공공행정, 농어촌 개발, 교육·보건, 녹색환경·산업 업무를 전담하게 했다.
또한 선진 원조기관처럼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별 데이터베이스를 세부적으로 구축하는 작업도 병행해 누구든, 어떤 기관이든 코이카에 원조사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김 이사장은 "투명성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원조기관은 어떤 다른 기관보다도 투명해야 한다"면서 "국민의 세금을 쓰는 일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코이카가 외국의 선진적인 원조기관처럼 되려면 이들과 자료를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수원국(受援國)의 정부와 국민, 비정부기구(엔지오·NGO)가 현장에서 협업해 가장 큰 효과를 만들어내는 원조ㆍ개발사업을 하고 싶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그는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 호주, 멕시코, 터키 등 원조 공여국들과 그간 협조 관계를 맺고 있어 이제는 구체적으로 손을 잡고 의미 있는 사업을 만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코이카 조직 내부로는 '개혁'을 강조했다.
그는 "코이카는 국민에게 책임지는 기관입니다. 그런데 지역별로 조직이 구성돼 있다 보니 전문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고, 전문성 있는 직원들도 조직 안에 숨어 있었다"면서 "이들을 간판에 내걸고 외부 공동체와 소통도 하고자 조직을 개편한 겁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전략기획부에 있던 사회개발팀과 경제개발팀을 '경제사회개발부'라는 새 부서로 묶어 공공행정, 농어촌 개발, 교육·보건, 녹색환경·산업 업무를 전담하게 했다.
또한 선진 원조기관처럼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별 데이터베이스를 세부적으로 구축하는 작업도 병행해 누구든, 어떤 기관이든 코이카에 원조사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김 이사장은 "투명성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원조기관은 어떤 다른 기관보다도 투명해야 한다"면서 "국민의 세금을 쓰는 일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코이카가 외국의 선진적인 원조기관처럼 되려면 이들과 자료를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