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 "내부 의견을 수렴해 결정하겠지만, 정부의 공식 사과 없이는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할 생각이 없다."
22일 서울 강서구 KBS 스포츠월드에서 열린 한국노총 정기선거인대회에서 뽑힌 김동만(54) 제25대 한국노총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철도파업 이후 경색된 노사정 관계에 대해 이런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노사정위원장이라는 분이 민노총 침탈을 정당화하는 상태에서 노사정 대화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통상임금 등 많은 난제가 있는데 정부가 노총의 노사정위원회 내 역할을 보장하는 등 성의를 보이지 않는다면 우리가 먼저 대화할 뜻은 없다"며 "노사정위에서 들러리 역할을 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 들어 노동정책이 사실상 없는데다 최근 민노총 침탈사건까지 나면서 노총이 참 어려운 상황"이라며 "노동현장, 특히 공단을 다 둘러봤는데 간부들이 '바꿔야 한다'는 의지가 강했고 이 때문에 제가 승리할 거라고 확신했다"고도 했다.
그는 또 "최근 정부가 지금 사업장에 가이드라인을 내려 보내 단체협약을 체크하고 있는데, 이는 수십 년간 노사가 자율적으로 체결해온 단체협약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공공부문의 가장 큰 문제는 전문성 없는 낙하산 인사와 정부의 정책사업에 따른 빚 증가인데 이를 견제하지 않고서 무조건 복지를 줄이는 등 공공노동자의 희생을 강요해선 안 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김 위원장은 한국노총의 정치 방침과 관련, "노총이 노동의 산실인 만큼 노동의 정체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