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차관은 23일 서울은행회관에서 열린 제2차 공공기관 정상화 협의회에서 “정상화 대책을 지연·저지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수용하지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며 “경영펴가 제도는 국민에게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케 하려는 제도이지 공공기관에 부담을 주려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과거 공공기관 개혁과는 달리 부채와 방만경영 정보를 소상히 알리는 등 정보공개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 역시 정상화 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 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방만경영을 조기에 해소한 기관에 대해서는 중간평가를 앞당겨 실시해 중점관리대상 기관에서 조기에 제외시키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공공기관 정상화 협의회는 각 기관의 공공기고나 정상화 이행상황 점검과 공공기관 부채 및 방만경영 실태를 모니터링 하기위해 구성된 협의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