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전환 늘고 재건축 활발… 서울 아파트값 7주째 오름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23 13: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국 전셋값 74주째 고공행진 지속, 상승폭은 줄어

<자료: 한국감정원>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전셋값 고공행진에 따른 전세 수요자들의 매매전환 증가와 집값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졌다.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7주째 오름세를 나타냈다. 전세시장 역시 상승세가 끊이지 않았지만 설 연휴를 앞두고 이사 수요가 다소 줄면서 상승폭이 낮아졌다.

23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월 셋째주(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9% 올라 21주째 상승했다. 지난해말과 비교하면 0.27% 높은 수준이다.

서울·수도권은 전주보다 0.11%, 지방은 0.07% 각각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경북(0.29%)·대구(0.26%)·세종(0.15%)·서울(0.13%)·경기(0.12%)·제주(0.11%)·울산·충북(0.09%)·경남(0.06%) 등 순으로 올랐다. 충남(-0.08%)과 전북(-0.02%)은 하락했다.

감정원 관계자는 “매매전환수요 증가와 부동산 시장 낙관론으로 서울 강남 재건축 투자수요가 활기를 띠며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회복기조가 지속됐다”며 “지방은 대구와 제주 지역의 상승세가 진정돼 오름폭이 다소 둔화됐다”고 분석했다.

서울은 한강 이북(0.12%)과 한강 이남(0.14%) 지역이 오름폭이 전주보다 0.06%포인트, 0.05%포인트 각각 확대됐다. 구별로는 금천(0.46%)·동대문(0.36%)·성동(0.30%)·영등포(0.25%)·서대문(0.23%)·구로(0.20%)·강남구(0.16%) 순으로 강세다.

주택 규모별로는 전용 60㎡ 초과~85㎡ 이하와 60㎡ 이하가 각각 0.10% 오른 것을 비롯해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건축연령별로도 15년 초과~20년 이하(0.13% 등 모든 연령이 일제히 상승했다.

전세가격은 전주보다 0.2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74주째 오름세로 지난해말보다 0.62% 높다. 방학시즌 이사와 봄 이사철 및 결혼 시즌 대비 대기 수요가 누적돼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설 연휴를 앞두고 거래가 일시적으로 소강상태여서 가격 상승폭은 다소 둔화됐다.

서울·수도권 전주 대비 0.29%, 지방은 0.12% 각각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도별로는 제주(0.39%)·인천·세종(0.30%)·경기(0.29%)·대전·서울·경북(0.27%)·대구(0.16%)·경남(0.11%)·강원(0.09%) 순으로 오름폭이 높았다.

서울은 한강 이북(0.25%)은 오름폭이 둔화됐지만 한강 이남(0.29%) 지역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40주째 오름세를 기록했다. 구별로는 구로(0.70%)·성동(0.60%)·금천(0.51%)·양천(0.47%)·강서(0.37%)·마포(0.36%)·도봉구(0.33%) 순으로 올랐다.

규모별로는 전용 85㎡ 초과~102㎡ 이하(0.27%), 건축연령별로는 10년 초과~15년 이하(0.25%) 오름폭이 가장 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