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2/02/20140202095336220266.jpg)
어촌 관광마을 조성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가 올해 수산 자원 조성 등 풍요로운 서해바다 만들기에 중점을 두고 수산분야에 예산 326억 원을 투입해 사업을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
도는 올해 예산이 지난해 보다 약 80억 원(34%)이 증액된 것으로, 도 재정 악화로 자체사업은 39% 감소했으나 어촌자원 복합산업화 지원 33억 원과 어촌종합개발 16억 원 등 국비 사업 예산이 131%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풍요로운 서해바다 조성 ▲수산업 인프라 구축 및 소득복지 강화 ▲다시 찾고 싶은 어촌 마을 조성 ▲쾌적한 바다환경 및 생태계 보호 등 4개 핵심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먼저 풍요로운 서해바다 조성을 위해 69억 원을 투입하는데,안산시 등 연안 해역 170ha에 28억 원을 들여 물고기 아파트라 불리는 인공어초를 투하한다. 인공어초는 미 시설 해역에 비해 평균 3.7배에서 최대 9.3배의 어획량 증가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총 33억5,500만 원을 들여 바다에는 넙치, 꽃게 등 5종 426만 마리, 강과 하천에는 참게, 황복 등 8종 952만 마리의 치어를 방류해 어장 생산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치어 방류는 투자비 대비 3배 이상의 경제효과가 있다.
수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110억 원을 투자하는데, 안산시 육도항에 물양장(소형 선박 접안 부두) 선착장 방파제 등 어항기본시설 확충하고, 시흥시 월곶항에는 어민 공동작업장을 만들 계획이다.
또한 수산물 유통 가공 시설에 18억 원을 지원해, 지역에서 생산된 수산물 브랜드화 및 부가가치를 올리도록 할 방침이다.
그리고 82억 원을 투자해 다시 찾고 싶은 어촌마을을 만들 계획인데, 우선 안산시 풍도에 11억3,300만 원을 들여 어촌체험마을을 조성하고 대부도에는 1억8,000만 원을 들여 해양생태 관광마을을 육성해 어업인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쾌적한 바다환경과 생태계 보호를 위해 8억 원을 투입해, 해양폐기물과 낚시터 쓰레기 등을 수거하고 불가사리 등 해적생물 구제를 통해 어류 패류 등 수산자원이 잘 살 수 있는 서식환경도 조성키로 했다.
김동수 도 수산과장은 “지속가능한 어업환경을 조성하고, 경기바다를 돈 버는 생산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풍요로운 서해바다 조성 ▲수산업 인프라 구축 및 소득복지 강화 ▲다시 찾고 싶은 어촌 마을 조성 ▲쾌적한 바다환경 및 생태계 보호 등 4개 핵심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먼저 풍요로운 서해바다 조성을 위해 69억 원을 투입하는데,안산시 등 연안 해역 170ha에 28억 원을 들여 물고기 아파트라 불리는 인공어초를 투하한다. 인공어초는 미 시설 해역에 비해 평균 3.7배에서 최대 9.3배의 어획량 증가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총 33억5,500만 원을 들여 바다에는 넙치, 꽃게 등 5종 426만 마리, 강과 하천에는 참게, 황복 등 8종 952만 마리의 치어를 방류해 어장 생산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치어 방류는 투자비 대비 3배 이상의 경제효과가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2/02/20140202095703406480.jpg)
인공어초 투하
수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110억 원을 투자하는데, 안산시 육도항에 물양장(소형 선박 접안 부두) 선착장 방파제 등 어항기본시설 확충하고, 시흥시 월곶항에는 어민 공동작업장을 만들 계획이다.
또한 수산물 유통 가공 시설에 18억 원을 지원해, 지역에서 생산된 수산물 브랜드화 및 부가가치를 올리도록 할 방침이다.
그리고 82억 원을 투자해 다시 찾고 싶은 어촌마을을 만들 계획인데, 우선 안산시 풍도에 11억3,300만 원을 들여 어촌체험마을을 조성하고 대부도에는 1억8,000만 원을 들여 해양생태 관광마을을 육성해 어업인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쾌적한 바다환경과 생태계 보호를 위해 8억 원을 투입해, 해양폐기물과 낚시터 쓰레기 등을 수거하고 불가사리 등 해적생물 구제를 통해 어류 패류 등 수산자원이 잘 살 수 있는 서식환경도 조성키로 했다.
김동수 도 수산과장은 “지속가능한 어업환경을 조성하고, 경기바다를 돈 버는 생산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