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면카드는 최종 이용일로부터 1년 이상 이용실적이 없는 신용카드로, 정부는 사회적 비용 절감이나 부정 사용 예방을 위해 이 카드 정리에 나서고 있다.
4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휴면카드는 1395만장으로, 같은 해 3월 말(2458만장)보다 1000만장 이상 줄어들었다.
8개 전업계 카드사의 휴면카드 비율은 하나SK(23.7%), 롯데(16.5%), 비씨(15.9%), 신한(15.4%), 우리(9.6%), KB국민(9.3%), 삼성(8.6%), 현대(7.9%) 순이다.
KB국민·삼성·현대·우리카드는 작년 1, 2분기에 19~22%에 육박했던 휴면카드 비중이 3, 4분기에 8~9%대로 급격히 낮아졌다.
신한카드와 롯데카드는 분기마다 1~2%포인트씩 휴면카드 비중이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하나SK카드는 작년 6월말 비율이 29.0%까지 치솟은 뒤 9월 말 23.2%까지 낮아졌으나, 12월 말에 23.7%로 다시 오름세다.
BC카드는 휴면카드 비중이 지난해 9월 말까지 17.4%까지 분기마다 오르다가 12월 말 15.9%로 내려갔다. 그러나 이는 3월 말 수치인 14.4%보다 높다.
12개 겸영은행(은행과 카드 겸업)의 휴면카드 비중도 13.2~34.6%에 이를 정도로 여전히 높은 편이다.
특히, 외국계은행인 SC은행과 씨티은행은 휴면카드 비중이 전체 1, 2위를 기록하며 매분기 높아지는 추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