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중국 역사교과서 '1950년 6월25일 북한, 남한으로 진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2-07 18: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바이두 "북한, 한국 침략" 명확히 규정…중국 외교부 즉답 안해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중국의 고등학교가 2005년도부터 역사교과서를 통해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먼저 남한으로 진격해 서울을 점령했다"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이 7일 확인됐다.

이날 2005년 인민교육출판사가 펴낸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내용을살펴본 결과 "1950년 6월 25일 조선내전이 발발했다"면서 "조선인민군은 신속하게 한성(漢城.서울)을 공격해 점령했고 남측을 향해 진격했다"는 내용이 확인됐다.

이 교과서는 "한국 군대는 번번이 패퇴했고 이는 미국의 강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고 덧붙이고 있다.

2005년 발간된 이 교과서는 현재에도 중국의 일선 고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다.

이와 함께 연합뉴스가 중국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바이두'(百度)에서 '조선전쟁'(6·25 전쟁)을 검색한 결과 '북한이 남한을 침략했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두는 "'조선전쟁'의 기원은 한반도상에서 조선(북한)이 한국을 침략한 전쟁"이라고 정의하면서 "1950년 6월 25일 조선이 소련의 묵인을 얻어 선전포고도 하지 않고 한국을 침략함으로써 3년간의 조선전쟁이 발발했다"고 밝히고 있다.
 

북한의 4신 고사기관총


역사 교과서와 바이두의 검색결과는 사실상 '조선전쟁'은 내전이라고 규정하면서 남침인지 북침인지를 명확히 밝히지 않는 중국 정부의 입장과는 다소 온도 차가 나는 것이다.

이와 관련,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인민교육출판사 역사교과서의 서술 내용 및 6·25 전쟁을 누가 먼저 일으켰는지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관련되는 상황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앞서 친강(秦剛) 대변인도 지난 2010년 6월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명확한 결론을 내렸다"며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를 거울삼아 미래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라고 말해 6·25에 대한 중국 정부의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기를 사실상 회피한 바있다.

중국 국책 연구기관인 사회과학원도 지난달 발간한 '2014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발전보고서'에서 "북한은 소련의 지지와 강요된 중국의 묵인을 얻은 뒤에 군사행동을 개시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 부분은 둥샹룽(董向榮) 연구원이 개인자격으로 집필한 것이지만 남침을 인정하는 학계 및 사회의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 아니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 학계에서는 공산권 기밀문서가 공개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 선즈화(沈志華) 화동사범대 교수 등 상당수 학자를 중심으로 북한의 남침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