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03/20140303092411259064.jpg)
정강필 우리투자증권 부장.
몇 번의 마우스 클릭만으로도 무수한 정보가 쏟아지는 최첨단 정보통신시대에 공자의 말을 원용하는 것이 새삼스럽지만, 특히 논어의 첫 문장은 그 어떤 시대를 살고 있다 해도 곱씹어 볼 만한 명문이다.
우리는 ‘학습’이라는 단어를 그저 배운다는 뜻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학’은 배우는 것이고 ‘습’은 이미 배운 것을 곰삭게 하는 과정이니, 결국 학습이란 스스로 배운 것이 자신의 사색과 경험칙을 통하여 내면화하는 총체적 과정이 될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학이 아니라 습인데 지식이 사유를 통한 내면화 과정이 없다면 그것은 죽은 지식, 자기 것이 아닌 지식이기 때문이다.
인터넷과 테크놀로지의 폐해에 대한 통찰력으로 현대의 정보사회의 구루로 칭송받는 니콜라스 카는 인터넷이 우리의 뇌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는지, 즉 인터넷에 의한 검색과 연결로 인하여 인간은 스스로의 사색을 통하여 깊고 넓게 사유하는 방법을 잊어가고 있음을 경고한다.
미국의 정보기술미래학자이자 작가인 니콜라스 카는 1959년생으로 하버드대를 졸업했으며, 하버드비즈니스리뷰 편집장을 역임했다.
포드자동차에 적용된 테일러 시스템이 있다. 과학적 관리법이라고도 하는 이것은 인간의 행동과 시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인데, 이것 때문에 현대의 대량 생산 및 소비 체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니콜라스 카는 이 테일러 시스템이 우리의 육체에 피해를 준 것처럼 구글로 대표되는 인터넷이 우리의 뇌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정리하면 인터넷이 수많은 정보를 빠르게 찾아줌으로써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인간의 집중력과 사색 능력을 쇠퇴시킨다는 주장이다.
그는 고백하기를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와 인터넷에 몰두하다 보니 어느 순간 자신의 사고방식이 파편화되었고, 톨스토이를 읽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몰두하는 능력과 깊게 생각하는 능력이 저하되었다고 한다.
인터넷은 그야말로 정보의 바다이다.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정보는 파편화된 것으로, 이것이 진정 우리에게 가치로운 것이 되기 위해서는 그 정보들을 서로 교직하여 연결하고 더 나아가 그 정보가 갖는 숨겨진 의미를 통찰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습의 과정, 즉 사색을 통하여 사유하고 이를 내면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투자의 세계 역시 혼돈의 바다다. 엄청나게 많은 정보와 데이터와 소문이 시시각각 쏟아져 나온다.
그리고 정보와 데이터, 소문은 인간의 욕망과 공포와 뒤범벅되어 도무지 분간할 수 없는 총체적인 아노미 상태를 변주한다.
불확정성이 지배하고 나비효과가 횡행하는 이 상태를 스스로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은 깊게 그리고 넓게 사유하고 통찰하는 것 외에는 없다.
영화 ‘모던 타임즈’에서 찰리 채플린은 스스로 강고한 테일러 시스템에서 빠져 나와 인간성을 회복한다.
1936년 제작된 ‘모던 타임즈’는 컨베이어 벨트 공장에서 하루 종일 나사못을 조이는 단순 작업을 하다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조여 버리는 강박관념에 빠져 정신병원까지 가게 되는 찰리의 모습을 담고 있다.
찰리는 이후 백화점 경비원과 철공소 직원, 카페 점원 등으로 일하다 결국 떠돌이 신세로 길거리에 내몰리지만 끝내 희망만은 버리지 않는다.
제대로 된 투자를 위해서는 이 같이 스스로 혼돈의 바다에서 빠져 나와 자신이 듣고 배운 바를 내면화하는 시간이 필요하며, 이것은 성공적인 투자를 위하여 반드시 해야 할 투자다.(정강필 우리투자증권 북울산지점 부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