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장관은 애초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직접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에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다가 이를 철회한 바 있다.
하지만 다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한 일본 정부의 태도 변화가 없다고 판단해 다시 입장을 번복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3ㆍ1절 기념사를 통해 일본의 '고노담화' 수정 움직임을 강력 비판했으나 일본은 오히려 문부과학성 부대신이 '일본군 위안부는 거짓말ㆍ사실 날조'라는 망언까지 일삼으며과거사 도발을 이어가고 상황도 윤 장관이 직접 참석한 계기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에 대해 정부 고위당국자는 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인권 이사회에) 중요한 안건이 있고 인권 정책에 대한 대외적 입장 발표라는 점을 감안할 때 장관 참석도 의미가 있겠다"고 해서 윤 장관이 직접 참석하기로 한 것이라며 참석하게된 취지를 설명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04/20140304113907893690.jpg)
이 당국자는 이어 "(인원이사회 회의도) 반기문 사무총장도 참석하고 외교장관도 50여개국에서 참석해 전체적으로봐서 참석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 같다"면서 "각국의 국별 인권상황 우리 인권 옹호자, COI 보고서도 발표됐지만 또 논의가 되는 것을 감안해 출범 2년차 맞은 정부의 인권정책 설명하는 자리에 장관이 가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 생각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번 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일본의 배상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북한 내 반(反)인도범죄에 대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최근 보고서에 대해 북한 인권 상황의 심각함을 우려하고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도 거론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윤 장관의 이번 참석은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강조하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대외적으로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 관계자는 "우리 외교 수장이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한 것은 2006년 반기문 외교부 장관 이후 8년여 만이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