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4일 당국자 논평을 통해 "일본 정부의 관방장관이 고노 담화의 작성 경위를 다시 검증하겠다고 하더니, 이제는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제대로 된 역사를 가르쳐야 할 문부과학성의 부대신이 고노담화 부정을 선동하는 대중 집회에 직접 참석하여 동조하기까지에 이르렀다"며 이같이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04/20140304153152527060.jpg)
이 논평은 "일본의 일부 정치지도자들과 정부 인사들이 '고노 담화 계승'을 입버릇처럼 반복하면서도 실제로는 그와 정반대의 행동을 계속 하고 있다"며 "이것은 피해자들뿐만 아니라,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을 지적하고 적극적인 조치를 촉구해 온 유엔 등 국제사회를 우롱하는 처사"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또한 "누가 거짓말을 하고, 누가 사람을 속이고, 누가 사실을 날조하는지는 생존하고 계신 55명의 피해자들이, 국제사회가, 그리고 역사가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일본 정부가 2013년 유엔 총회 아베 총리 연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진정으로 ‘무력분쟁 하의 여성에 대한 성폭력이 끊이지 않는 현실에 분개한다’면 그러한 폭력의 실증적 사례인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통감하고 진실된 마음으로 반성하고 사죄하라"면서 "자라나는 세대들이 미래에 또다시 동일한 과오를 반복하지 않도록 올바른 역사교육을 실시하는 데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