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는 오는 2018년까지 총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총 625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는 골자의 '환경규제 및 안전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내외 환경규제 대응과 화학물질 안전관리에 필요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산업계의 여건을 감안해 추진됐다. 산학컨소시엄을 통한 교과과정 개설, 산학프로젝트, 인턴십 등을 통해 기업 수요에 적합한 전문 인력 양성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산업부는 우선 환경규제의 강도 및 화학물질 사고 발생 빈도 등을 고려해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산업, 화학 산업 및 전기전자(완성품) 산업 등 3개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키로 했다. 이후 생활용품 산업, 포장재 산업, 철강 산업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2018년까지 석박사급 225명, 단기 전문 교육과정 300명, 전문 기술자격교육과정 100명 등 총 625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키로 했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원과 참여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3개 선정해 연간 20억원 규모로 5년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현장 문제해결 중심 전문 인력 양성 및 고용창출 △산ㆍ학 협력을 통한 기업의 전문 대응 역량 제고 △기업수요에 맞는 커리큘럼 및 직무능력표준 개발 등을 추진키로 했다. 기업수요에 맞는 커리큘럼 개발을 비롯해 참여기업의 인턴쉽 프로그램, 복합기능 팀 프로젝트, 전문교육강좌 등을 통한 산업현장 적합형 전문 인력 양성 및 참여기업으로의 고용연계를 꾀한다는 판단에서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학컨소시엄을 통한 이번 사업은 현장 실무형 인력 공급 체계 구축은 물론, 기업의 특수․전문 인력수급난 해소 및 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