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병욱 기자 =6·4 지방선거 서울시장에 도전할 여권 후보들의 초반 레이스에 격차가 벌어지면서 경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정몽준 의원과 이혜훈 최고위원은 이미 출마 선언을 마치고 질주에 들어간 데 비해 미국에 체류 중인 김황식 전 국무총리는 아직 출발선에 머무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정 의원은 지난 2일, 이 최고위원은 지난달 11일 각각 출사표를 던지고 선거전에 돌입했다.
이들은 연일 민생현장을 방문하고 언론과 인터뷰를 하는 등을 통해 바닥을 다져가면서 예선전인 당내 경선과 본선인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뛰고 있다.
정 의원은 이날 서울 군자차량기지를 방문한데 이어 ‘세계 여성의 날’ 기념 토론회, 서울시재향군인회 정기총회 등의 일정을 잇따라 소화한다.
이 최고위원은 서울 여의도에 선거사무소를 열고 서울시재향군인회 정기총회 참석, 종합관제센터 관련 정책 발표 등을 한다.
그러나 김 전 총리는 미국 UC버클리 로스쿨의 한국법센터 설립 자문에 응하기 위해 지난달 11일부터 미국에 체류하고 있어 아직 장외에 머물고 있는 상태다.
김 전 총리는 선거판이 조기에 요동치는 상황을 감안해 일정을 앞당겨 오는 14일 귀국하기로 했지만 다른 경쟁 후보들보다 최소 2주에서 한 달 정도 늦은 출발이 불가피하다.
김 전 총리는 출마 쪽으로 뜻을 거의 굳힌 것으로 알려졌지만, 출마선언이 늦어졌을 뿐더러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측과의 신당창당 등 야권의 ‘통합’으로 선거구도가 급격히 재편되는 흐름을 타기보다는 ‘국외자’ 가 된 분위기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김 전 총리가 미국에서 무엇을 하는 것이냐”, “정치판의 속성을 너무 못 읽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애초 당 지도부의 출마 요청을 받으면서 이른바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논란’의 당사자였던 김 전 총리지만 이처럼 ‘뒷짐’을 지고 있는 사이에 이미 힘이 빠진 것 아니냐는 ‘실기론’도 제기되고 있다.
김 전 총리 측은 귀국 이후 조속한 선거캠프 가동을 위해 캠프를 꾸리는데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몽준 의원과 이혜훈 최고위원은 이미 출마 선언을 마치고 질주에 들어간 데 비해 미국에 체류 중인 김황식 전 국무총리는 아직 출발선에 머무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정 의원은 지난 2일, 이 최고위원은 지난달 11일 각각 출사표를 던지고 선거전에 돌입했다.
이들은 연일 민생현장을 방문하고 언론과 인터뷰를 하는 등을 통해 바닥을 다져가면서 예선전인 당내 경선과 본선인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뛰고 있다.
정 의원은 이날 서울 군자차량기지를 방문한데 이어 ‘세계 여성의 날’ 기념 토론회, 서울시재향군인회 정기총회 등의 일정을 잇따라 소화한다.
이 최고위원은 서울 여의도에 선거사무소를 열고 서울시재향군인회 정기총회 참석, 종합관제센터 관련 정책 발표 등을 한다.
그러나 김 전 총리는 미국 UC버클리 로스쿨의 한국법센터 설립 자문에 응하기 위해 지난달 11일부터 미국에 체류하고 있어 아직 장외에 머물고 있는 상태다.
김 전 총리는 선거판이 조기에 요동치는 상황을 감안해 일정을 앞당겨 오는 14일 귀국하기로 했지만 다른 경쟁 후보들보다 최소 2주에서 한 달 정도 늦은 출발이 불가피하다.
김 전 총리는 출마 쪽으로 뜻을 거의 굳힌 것으로 알려졌지만, 출마선언이 늦어졌을 뿐더러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측과의 신당창당 등 야권의 ‘통합’으로 선거구도가 급격히 재편되는 흐름을 타기보다는 ‘국외자’ 가 된 분위기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김 전 총리가 미국에서 무엇을 하는 것이냐”, “정치판의 속성을 너무 못 읽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애초 당 지도부의 출마 요청을 받으면서 이른바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논란’의 당사자였던 김 전 총리지만 이처럼 ‘뒷짐’을 지고 있는 사이에 이미 힘이 빠진 것 아니냐는 ‘실기론’도 제기되고 있다.
김 전 총리 측은 귀국 이후 조속한 선거캠프 가동을 위해 캠프를 꾸리는데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