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은행의 원금 미보장 금융투자상품 판매실적은 지난해 18조2106억원이다. 이 중 고객에게 적합한 금융투자상품보다 투자위험도가 높은 상품의 평균 판매비중은 48.3%(8조7977억원)에 달한다.
현재 은행은 펀드 등 고위험 금융투자상품을 판매할 경우 고객으로부터 투자성향보다 위험 등급이 높은 투자를 원할 경우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를 받고 있다.
그러나 금감원은 일부 은행이 판매실적을 위해 고객의 투자성향을 고려하지 않고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를 형식적으로 꾸며 판매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고객 성향보다 위험등급이 높은 금융투자상품 판매 비중 및 공격·적극적 투자자 가입비율이 업계 평균보다 높은 은행 등에 대해서는 상시감시, 미스터리쇼핑, 현장검사 등을 강화키로 했다.
또한 투자자 성향보다 위험도가 높은 금융투자상품을 판매할 경우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뿐만 아니라 지점장 사전승인 등 추가 확인방안을 도입할 방침이다. 더불어 고객 투자성향보다 2~3등급을 초과하는 고위험 금융투자상품은 판매하지 못하도록 지도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