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옥 교수
미래창조과학부는 김명옥 경상대 교수 연구팀이 노화된 뇌세포 퇴행에서 유래된 치매에 효과적인 고기능성 천연 단백질을 발굴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치매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해 셀 데스 앤드 디지즈지 온라인판 1월 30일자에 게재됐다.
연구단은 부작용 없이 혈액-뇌 장벽 통과가 용이한 천연 단백질인 오스모틴을 이용해 뇌신경세포 퇴행에서 유래된 치매를 효과적으로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발견해 향후 관련 분야 치료제 개발 등의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이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구팀은 오스모틴이 신경세포내 신호전달에 관여되는 세포전달에 관계되는 단백질 인자 종류인 JNK/PI3K/Akt 외에 Akt의 하류단백질로 세포사멸 관련 인자 종류 중 하나인 p53 등 뇌세포사멸 관련 단백질발현을 조절해 시냅스를 강화시켜 신경가소성을 증대시키고 시냅스 기능장애에 의한 뇌신경퇴행을 억제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
글루타메이트 처리에 의해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활성 및 하류 신호전달 단백질인 JNK, PI3K, AKT의 발현양에 변화가 있었으나 오스모틴 처리에 의해 회복 및 뇌기능 조절이 가능함을 실제 확인했다.
식물추출물인 오스모틴을 이용한 이번 연구를 통해 뇌신경퇴행에 있어 부작용 없는 천연 단백질을 이용한 치매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과제 관련 천연 단백질의 치매제어 관련 기술은 오스모틴을 이용한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국내 특허 출원 및 등록, 유럽 등 30개국 국제 PCT 출원과 미국 등 특허 출원을 마친 상태이고 기술이전도 가능할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 교수는 “이번에 발표된 연구 성과는 논문 및 특허 등록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치매치료 및 개선물질로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성과가 될 것”이라며 “천연단백질을 이용한 치매치료 기술개발은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