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근 “통합신당, 시민참여형 정당으로 혁신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13 11: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문성근 ‘국민의명령’ 상임운영위원은 13일 통합신당의 방향과 관련해 “온오프결합 ‘시민참여형 정당’으로 혁신해야 2017년 정권교체를 이루고 이후 원활한 국정운영을 감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 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민주당 정청래·최민희 의원 주최로 열린 긴급토론회에서 “통합신당의 수임기구는 온오프 네트워크 정당 건설을 천명하고 당헌당규에 이를 상세히 반영해야 한다”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통합신당, 온오프결합 시민참여형 정당으로 승부하자’라는 발제문을 통해 △‘온 플랫폼’ 건설을 위한 시민과의 공동기구 출범 △새누리당이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개방형 국민경선제)’ 제안의 수용 등을 촉구했다.

문 위원은 온 플랫폼의 주체와 관련, “미국의 시민정치 ‘무브온’ 등과는 달리 한국의 경우 시민들의 정당 일체감 등이 낮으니 시민 초정파 조직으로 운영하되, ‘새누리당 세력의 확산을 저지하겠다’는 정당이 협력하고 일부 공동운영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한국형 온 플랫폼 형성과 관련해선 △캠페인(민원) 플랫폼 △정책생산(시민 원탁회의) 플랫폼 △콘텐츠 플랫폼 등 4개의 플랫폼이 지역 커뮤니티로 축적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문 위원은 통합신당이 온오프결합 시민참여형 정당으로 혁신할 경우 지지율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대선의 온갖 부정을 뚫고 48%(민주당 문재인 후보 득표율) 시민이 모였다. 이를 거칠게 구분하면, 민주당 고정지지층과 민주당 밖 민주진보 지지층과 시민, 2∼30대 자유주의적 진보층”이라며 “정당불신이 깊은 자유주의적 진보층이 부담 없이 참여하려면 입당하지 않아도 당의 의사결정에 차등화된 의결권을 부여하는 온 플랫폼이 제격”이라고 말했다.

또한 “각종 이슈와 민원은 전국단위의 사안이 대부분이라 유권자와의 소통에 간극이 발생한다. 이를 (온 플랫폼을 통해) 해소함으로써 지난 대선에서 부족함으로 지적됐던 생활밀착형 정책과 조직 열세를 극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박근혜 정부가 2조3000억원의 예산으로 정부 3.0계획을 발표했는데,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 때 활용한 빅 데이터 선거전략의 위력을 확인한 우리로서는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며 “새누리당이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하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퇴행’, ‘저들은 우리의 실험을 진화시키고 있구나’ 하는 절박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