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컴즈는 두 차례에 걸친 구조조정에 대해 기업 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항변한다. 2013년 4분기 매출액 274억원, 영업손실 176억원을 당기순손실 260억원을 기록한 SK컴즈는 9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가는 중이다.
경영 악화를 감안하더라도 SK컴즈의 구조조정이 지나치게 성급하게 진행됐다는 것이 업계의 중평이다. 특히 정리된 인력 중 상당수가 경쟁사로 이직했다는 점이 뼈아프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로 구조조정을 기점으로 네이버와 다음 등 주요 포털사들은 SK컴즈의 핵심 인력의 상당수를 자사로 영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네이트의 주요 사업들이 양대 포털과 흡사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인력 이탈이 경쟁사의 역량 강화로 이어지는 이른바 ‘부메랑 효과’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구조조정에 앞서 자사의 인력들의 재배치를 통한 구조 개선 및 신사업 발굴에 좀더 집중했어어야 했다고 지적한다. 구조조정으로 인건비를 절약하는 것은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