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미로운 부분은 취재의 주체와 객체라는 점에서 서로 입장이 분명하게 다른 증권사와 기자들의 반응이 하나로 모인다는 점이다. 양 측 모두 "용감한 결정"이라며 비꼬았다. 기자가 대기하는 방 한 칸을 없애려다 "기자 심기를 건드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왔다.
기자가 기자실을 자존심과 기득권을 유지하는데 활용하는 것은 구태다. 한화투자증권 결정은 되레 증권기자들에게 따끔한 일침을 주고 있다.
증권업계에서 기자실은 상당히 기형적인 형태로 자리잡은 게 사실이다. 대부분 대형 증권사 기자실은 5석에서 많게는 10석 정도인데 좌석마다 언론사명과 출입기자 이름이 붙어있는 지정석제다.
자연스럽게 '자리'가 있는 상주기자가 증권사 사람과 만나는 횟수가 잦다. 이 과정에서 증권사는 "소통은 기자실과 하면 된다"는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다. 소통 경로가 좁아질수록 기사 논조가 획일화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기자실 지정석제는 다른 업권에서 찾기 힘들다. 시중은행도 기자라면 누구나 앉을 수 있는 '자유석제'를 운용하고 있다. 증권업계만 고집하는 관행인 것이다.
만일 정부부처 기자실 폐쇄라면 쉽게 결론내릴 수 없는 사안인 게 맞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난 2007년 30여 개 정부부처 기자실을 3개 합동브리핑센터로 통ㆍ폐합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여론의 다양성을 위한 방편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정부의 소통에 대한 의지와 방식을 생각해 볼 때 '언론 탄압'이라는 반대측 주장도 설득력이 있었다.
공익보다 사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기자실 폐쇄 결정은 이같은 논란에 결부지어 생각해 볼 성질이 결코 아니다.
한화투자증권이 증권업계에 기자실 폐쇄에 대한 좋은 선례를 남기기 위해서는 종전보다 기자들과 소통에 힘쓰고 건전한 비판을 감내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