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민주당 조경태 최고위원과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25일 문재인 의원의 사퇴를 촉구한 한상진 서울대 교수의 주장에 대해 확연한 온도차를 보였다.
조 최고위원은 한 교수의 ‘발언의 의미’에 대해 되짚어봐야 한다고 말한 반면 박 전 원내대표는 야권통합에 ‘특정 계파 배제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표적인 비노(비노무현)인 조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전원책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한 교수의 ‘문재인 사퇴’ 요구와 관련, “성공적인 신당을 위해서 한 말”이라고 잘라 말했다.
조 최고위원은 “내용의 진위를 왜곡시키지 말고 그분의 뜻이 어디 있느냐, 발언의 의미가 어디 있느냐에 대해서 생각을 해야 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 “친노(친노무현)가 (새정치민주연합에) 배제됐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중앙당 발기인에 다 포함이 돼 있지 않느냐”라며 “정작 (시·도당 창당대회에) 오시지 않는 분들, 불참했던 분들인 그런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는 친노의 패권주의에 대해 “그동안에 노무현 대통령을 자신들만의 전유물로 삼아서 전매특허인양 행세해온 소위 패권화된 일부 세력을 매노세력이라고 (주장)했다”며 “이런 매노세력들이 있다면 신당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신당에 와서도 또 분열과 분파를 일으킬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에 따로 하시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누가 누구를 배제한다는 거냐.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같은 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이와 관련, “백해무익한 개인적인 소신을 밝히는 것은 정치에선 부적절하다”며 “우리는 더 큰 민주당으로 나가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을 창당하는 것”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친노 배제론은 뺄셈의 정치라고 재차 비판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친노종북세력을 나가라고 하고 특정인을 배제하라는 얘기는 결국 뺄셈정치”라며 “현재 국민들이 바라는 야권의 통합을 위해서라도 (분열주의적) 말은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 교수는 지난 21일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학자적 양심을 걸고 현재 상황에서 당의 미래와 또 문 의원 개인의 미래를 위해서 드리는 충언”이라며 “(지난해 대선 패배는) 민주당의 책임이 훨씬 크고 또 문 의원의 책임도 결코 적지 않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민주당 대선평가위원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그러면서 “(지금) 새로운 정당이 태어나고 있다. 만일 문 의원이 미래를 바라보는 지도자라고 하면, 안철수 의원을 만나서 ‘협력하자’고 하는 정치인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그 다음 깔끔하게 물러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최고위원은 한 교수의 ‘발언의 의미’에 대해 되짚어봐야 한다고 말한 반면 박 전 원내대표는 야권통합에 ‘특정 계파 배제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표적인 비노(비노무현)인 조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전원책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한 교수의 ‘문재인 사퇴’ 요구와 관련, “성공적인 신당을 위해서 한 말”이라고 잘라 말했다.
조 최고위원은 “내용의 진위를 왜곡시키지 말고 그분의 뜻이 어디 있느냐, 발언의 의미가 어디 있느냐에 대해서 생각을 해야 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 “친노(친노무현)가 (새정치민주연합에) 배제됐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중앙당 발기인에 다 포함이 돼 있지 않느냐”라며 “정작 (시·도당 창당대회에) 오시지 않는 분들, 불참했던 분들인 그런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는 친노의 패권주의에 대해 “그동안에 노무현 대통령을 자신들만의 전유물로 삼아서 전매특허인양 행세해온 소위 패권화된 일부 세력을 매노세력이라고 (주장)했다”며 “이런 매노세력들이 있다면 신당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신당에 와서도 또 분열과 분파를 일으킬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에 따로 하시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누가 누구를 배제한다는 거냐.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같은 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이와 관련, “백해무익한 개인적인 소신을 밝히는 것은 정치에선 부적절하다”며 “우리는 더 큰 민주당으로 나가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을 창당하는 것”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친노 배제론은 뺄셈의 정치라고 재차 비판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친노종북세력을 나가라고 하고 특정인을 배제하라는 얘기는 결국 뺄셈정치”라며 “현재 국민들이 바라는 야권의 통합을 위해서라도 (분열주의적) 말은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 교수는 지난 21일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학자적 양심을 걸고 현재 상황에서 당의 미래와 또 문 의원 개인의 미래를 위해서 드리는 충언”이라며 “(지난해 대선 패배는) 민주당의 책임이 훨씬 크고 또 문 의원의 책임도 결코 적지 않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민주당 대선평가위원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그러면서 “(지금) 새로운 정당이 태어나고 있다. 만일 문 의원이 미래를 바라보는 지도자라고 하면, 안철수 의원을 만나서 ‘협력하자’고 하는 정치인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그 다음 깔끔하게 물러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