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실정에 맞는 맞춤형 복지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 주민의 복지욕구와 지역자원에 대한 조사를 실시, 제3기 지역사회 복지계획을 수립한다.
이번 지역사회 복지계획 수립은 복지 환경에 대한 고려와 사회복지 비전, 전략목표 설정 및 사업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으로 오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 단위 중장기 계획이다.
시는 내실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복지 관련 부서와 광명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민, 복지 전문가, 경기개발연구원 등 34명을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시행할 예정이다.
또 보건복지부 표준 설문서를 기반으로 시 실정에 맞는 설문서를 첨가해 내달 말까지 진행한다.
지역사회 복지조사표는 가구의 일반사항, 주거, 소득, 재산, 지역사회만족도, 여성.취학전 아동.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등의 복지만족도 등 13개 대분류 항목과 각 문항으로 구성돼 복지의 기본욕구와 계층별 다양한 유형을 파악해 계획에 반영한다.
지역주민 욕구조사는 광명시 전 지역에 걸쳐 400가구를 뽑아 경기개발연구원과 전문 리서치에 의뢰, 전문 조사원이 직접 가구를 방문해 조사를 진행한다.
시 관계자는 "이번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은 앞으로 광명시의 지역사회복지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중요한 계획인 만큼 주민의 복지욕구와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 복지시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