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내리막길 무가속 안내구간]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환경부와 현대엠엔소프트는 연료절약 ‘전국 내리막길’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전국 207개 구간, 총 연장 328㎞의 ‘내리막길 무가속 운전’ 구역으로 내비게이션을 통한 음성 안내가 이뤄진다.
무가속 운전이란 약 70∼80㎞ 속도(1500rpm 이상) 이상으로 주행 중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 연료차단(Fuel-Cut)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내리막길은 차량 주행속도의 관성을 이용해 연료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구간으로 현대엠엔소프트가 개발 구축 중인 차세대 고정밀 지도 데이터를 활용해 지정했다.
지정된 구간은 23개 고속도로 195개 구간, 수도권 및 부산의 6개 고속화도로 12개 구간이다.
전체 207개 구간별로 보면 3㎞ 이상 구간은 13개, 1∼3㎞ 구간 164개, 600m 이상 구간은 30개소 등으로 1개 구간 평균거리는 1583m에 달한다.
가장 긴 구간은 영동고속도로 하행선(여주→강릉방향)의 횡성군 안흥면 소사리에 있는 내리막길로 길이는 5922m이다.
지역별로는 강원도 34개, 경상남·북도 각 32개, 경기도 26개, 전라북도 23개 순으로 내리막길 구간을 지정했다.
고속도로 기준으로는 중앙선 31개(53㎞), 무안광주·88올림픽선 22개(42㎞), 중부선 20개(30㎞), 영동선 16개(35㎞), 중부내륙선 16개(23㎞) 및 경부선 9개(11㎞) 순이다.
일반도로의 경우는 수도권 및 부산의 총 6개 도로 12개 구간(13.5㎞)에 내리막길 구간이 지정됐다.
내리막길 무가속 운전구간 안내정보는 지난해 현대엠엔소프트의 내비게이션 ‘소프트맨’에 이어 ‘지니 넥스트’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본격적으로 제공된다.
환경부 측은 “운전자가 고속도로 내리막길 1개소(평균 1580m)를 무가속 운전할 경우 연간 고속도로 통행량이 약 23억 대인 것을 감안하면 약 3억6340만ℓ, 연료비 약6900억원(휘발유 1ℓ당 1900원 기준)의 절감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