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014년 정기 재산변동 상황'을 28일 발표했다. 이 지사는 배우자의 예금 증가로 지난해보다 1억1400만원이 증가했다.
지난 5일 사퇴한 이기용 전 충북교육감은 아파트 가격이 다소 떨어졌으나 본인과 배우자의 예금이 증가해 전년보다 6000만원 늘어난 6억44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신진선 전 행정부지사는 지난해 7억9400만원보다 다소 증가한 8억9100만원의 재산을 등록했고 설문식 경제부지사는 지난해16억9400만원과 비슷한 16억9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함승덕 충북도립대학 총장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1000만원 감소한 2억6900만원이다.
도내 12개 시장·군수의 평균 재산은 5억7800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고한 재산액보다 평균 6500만원이 증가했다.
임각수 괴산군수가 11억77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김영만 옥천군수가 1억1000만원으로 가장 적다. 그러나 지난해 재산이 5500만원이었다는 점에서 김 군수는 1년 새 배 가량 재산을 불린 것이다.
지난해 12억3500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던 이종배 충주시장은 서울의 아파트 가격 하락 영향 등으로 7900만원이 감소했다.
반면 지난해 9100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적었던 유영훈 진천군수는 1억7100만원을 신고, 도내 시장·군수 가운데 9위로 올라섰다.
지난해 재산 신고액이 9억900만원이었던 이종윤 청원군수는 올해 아파트 신규 매입 등 11억4900만원의 재산을 신고, 변동폭이 2억4000만원에 달했다.
충북도의원 35명의 평균 재산은 8억2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평균 8억100만원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도의원 가운데 최병윤 의원이 52억66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많은 도의원으로 꼽혔다.
통합진보당 김도경 의원은 지난해 마이너스 6100만원의 재산 내역을 등록한 데 이어 올해에도 마이너스 5000만원을 신고, 가장 재산이 적은 의원으로 꼽혔다.
노광기 도의원은 지난해 46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으나 올해에는 마이너스 2700만원으로 신고, 김 의원과 함께 부채가 더 많은 의원 2명에 포함됐다.
김광수 도의회 의장은 지난해 8억7천100만원의 재산을 등록했으나 올해에는 전답과 주택의 공시지가 상승, 예금 증가로 전년의 배 가량 되는 16억200만원을 신고했다.
또 김동환 부의장도 지난해 재산이 9억3000만원이었으나 배우자의 부동산·주택 매입으로 재산이 5억6900만원 증가한 15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김재종 도의원의 재산은 지난해 27억4600만원에 달했으나 올해에는 7억5000만원으로 급감했다.
충북도 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대상인 시·군 의원 및 충북개발공사 사장 등 130명의 1인당 평균 재산은 6억9500만원으로, 전년도보다 839만1000원 증가했다.
오수희 청주시의원의 재산은 104억4000만원으로, 지난해(107억4000만원)에 이어 올해에도 충북의 재산 신고 대상자 가운데 '최고의 부자'로 기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